(monopoly = 독점, 특정 분야에 대한 완전통제권을 가진 조직이나 집단)
(Lecturer: Peter Thiel - founder of PayPal, Palantir, Founders Fund)
Capturing Value
- X dollars of values for the world and captures Y% of X
- 예, 미국 항공사 vs 구글: 항공사 산업이 훨씬 크나, profit margin이 매우 적음
- X와 Y는 independent하다!
- 항공사는 Y가 작은 것. 검색엔진은 비행기에 비해 작으나, big piece of small pie임
- 두 가지 사업모델이 있다: 경쟁 vs 독점 (항공사=경쟁, 구글=독점)
- 각 spectrum은 서로 반대인 것처럼 보이려고 lie한다: 나는 혁신적입니다.. 우리는 특이한걸 해요… vs 나는 독점하지 않습니다…
- narrative
- monopoly기업은 자신을 union of relevant section이라고 표현할 것이며, 그 section의 모든 기업을 경쟁자라 말함.
- 반대로 non-mono는 본인을 intersection이라고 얘기함 - 경쟁이 없고 특별한 것처럼 (e.g. 우리는 유일한 최초의 Palo Alto의 영국식당입니다)
- is intersection valuable??
- monopoly market
- 물론 search market에도 구글의 경쟁자가 존재하나, 구글은 동시에 ad market이면서 tech market이면서 → 다양함!
- 사실 미국의 big tech들은 독점체계를 구축해둔 것임 → 현금을 엄청 쌓아놓고 있음
How to Build a Monopoly
- “start small and monopolize”
- 작은 시장을 장학하는 게 훨씬 쉽다. 초기 시장이 정말 클 것 같다고 생각이 들면, 대게 진짜 그렇다
-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은 다 이렇게 시작함 - amazon (단순히 서점), ebay (단일상품 경매)
- 처음에 너무 작은 시장에서 시작해 사람들이 가치가 없다고 여김
- Paypal: 처음에 너무 작은 시장이었으나 가치를 보았다
- 반대로, 05-08년 사이 clean tech company들은 엄청 큰 규모를 처음부터 자랑하며 누구와 경쟁하지 모르는 상태로 망해버렸음.
- 결론: “사람들이 알아채지도 못하는 small ecosystem의 only player이 되어라”
- 역사적으로
- always a sense that in the history of technology, every moment happens only once → 이전 사람의 방식을 그대로 베끼면 안 됨
- 안나 카레리나와 다름 → 망한 기업은 서로 비슷하게 망했고(essential sameness in competition), 잘 되는 기업은 unique하게 잘 됨
- 어떤 key dimension에서 order-of-magnitude는 더 잘 해야 함 → give massive delta
- 경제적으로
- 높은 고정비용과 적은 한계비용을 가지는 것이 monopoly의 특징을 가짐
- 소프트웨어는 marginal cost가 0임 ⇒ 이래서 규모의 경제에 유리하디
- scale very quickly!
- branding → 이게 전부여서는 안되지만, valuable하다
- 높은 고정비용과 적은 한계비용을 가지는 것이 monopoly의 특징을 가짐
- last mover
- 한 순간 monopoly는 의미 없다. first mover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 강하지만, 중요한 건 last mover로 남는 것이 중요함 → MS, Google
- 이 기업들은 미래 가치에 value가 있다. 할인율에 비해 성장률이 더 높기 때문에. YC의 기업가치의 3/4이 10년 뒤의 현금흐름에서 온다는 걸 확인 가능함.
- 그래서 실리콘밸리에서는 growth rate를 더 높게 본다 (성장가능성!)
- network effect business를 이용할 것 → bigger, stronger monopoly
- 첨단기술 Proprietary tech
- 항상 앞서가고 싶어 하나, 돈을 아예 만들지 못하는 분야가 꾸준히 존재해왔음
- 역사적으로 그런 사례가 많다 - 유의
- 결국, 왜 내 것이 ‘마지막 혁신’이 될 것인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함. 그리고 다른 사람이 따라오지 못할 정도로 빠르게 발전해야 함
- 많은 사람들이 혁신을 하나, 사회에는 좋은 일이지만 사업에는 별로 좋은 일은 아니다.
- 이 회사가 10, 15년 뒤에도 어떻게 첨단 회사가 될 것인지? 에 대해 narrative를 가지고 있어야 함.
- 체스: start by studying end game
History of Innovation
- 항상 혁신을 해 오지만, X와 Y는 independent하다
- 대단한 혁신을 만든 사람도 그것의 보상을 받지 못한다. 과학자? Y는 대부분 0일 것. 그들은 그들이 혁신하면 우주가 보상해줄 것이라고 생각하나 사실은 아님.
- 역사적으로 그렇게 흘러간다. 역사책에는 기록될지언정…
- 돈을 번 사람은 과학이나 기술이나 거의 적음
- 경쟁의 구조때문에, 돈을 버는 게 제한됨
- 봤을 때, 실제 지난 250년간 새로운 것으로 돈을 번 사람은 다음을 했음
- vertically integrated complex monopolies (ford, standard oil)
- 정말 많은 부품을 잘 맞게 조립하고, 그걸 조립해 내면 엄청난 가치로 찾아온다.
- 요즘은 이런걸 잘 안하는데, 할 수만 있다면 엄청 가치가 높음
- Paypal, tesla, spaceX는 그런걸 잘 하는 회사임. 각 컴포넌트를 쪼개 보면, 엄청 대단한 혁신은 없으나 그것을 혁신적으로 잘 integration하고, 거기서부터 monopoly를 구축
- vertically integrated complex monopolies (ford, standard oil)
- software: adoption rate가 엄청 빠르기 때문에, 다른 경쟁자가 치고 올라올 경우를 빠르게 차단함. 이것이 silicon valley의 가치
- 뭐가 되고 뭐가 안되는지… 결국 X와 Y를 따져봐야 함
- 과학계: science rationalizaion - do it for charitable reason. 이러한 합리화에는 좀 비판적이어야한다고 생각한다. Y=0이라는 사실을 숨기기 위함이 아닐지?
- 너무 competitive한 걸 하려 한 사람들은 이 구조를 합리화할 뿐, 이해하지 못함.
- 우리는 경쟁(학벌, 시험, 스포츠)에서 지는 사람을 loser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걸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 그 경쟁 자체가 intellectual, psychological blind spot이다. 우리는 경쟁에 본능적으로 끌린다. 무리 안에서 그것을 하면 안심이 된다.
- question: does the tournament make sense as we keep going?
- why do people fight crazy when the stakes are so small?
- 경쟁을 하다 보면 무엇이 가치있는지, 무엇이 중요한지를 놓치게 됨. 이기는 것을 잘하게 됨
QnA
- 너의 idea에 대해 monopoly인지 아닌지 어떻게 아냐?
- 중요한 건 what is the actual market이냐? 이걸 알아야 함
- Palantir의 monopoly
- Palantir - we started with a focus in the intelligence community, which is small. We had proprietary tech that was focused in human computer synthesis, rather than substitution. which i think is the DOMINANT paradigm
- lean startup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 약간 회의적. great company는 quantum improvement에 집중했음. 너무 많이 iterative하게 하는 것에 집중하면, 대중과 회사 사이 관계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지 못함.
- 사람들이 뭘 원하는지를 다 알게 되면 이미 늦은 때일 수 있음
- last mover
- 지금의 빅테크들이 last mover였어도, 그들은 어떻게 보면 big first mover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