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Blog of Jinho Ko / Startup / Stanford CS183B - How to Start a Startup

·

5 min read

L2 Ideas, Products, Teams and Execution

By Jinho Ko

Team

  • Cofounders
    • 정말 정말 중요하다. 이 회사의 전부를 결정하는 과정인데, long history가 없으면서 친구가 아닌 사람과 창업하는 것은 재앙이다 (최소 년 단위)
    • 상대방에 대해 모르는 채로 창업한 것은 엄청 안좋은 결과를 낳는다
    • 좋은 방법은 대학에서 찾는 것. 혹은 관심있는 회사에 들어가서 찾는 게 낫다.
    • 나쁜 동업자보다 없는 게 낫지만, 그렇다고 혼자 하는것도 나쁘다. 대부분의 창업은 최소 두 명 이상으로 시작
    • 초창기에, 동업자 간 remote work는 절대 안됨. 소통이 가장 중요함
  • Rentlessly resourceful : 끈질기게 무언가를 추구하는
    • 대표적으로, 제임스 본드
    • 기술적 cofounder가 없는 것은 위험하다. 자기 전문분야를 잘 살리는 것이 중요하다.
    • 경험적으로, 2~3명의 공동창업자가 현명하다.
  • 직원: 최대한 뽑지 말 것
    • 직원이 얼마나 많으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적게 하면서 운영하는지가 더 가치 있음 - 거기에 자랑스러워 할 것. 특히 직원이 많으면 버티기 힘들다
    • 성공한 YC 스타트업들 - 초기 몇 년은 매우 적은 직원으로 운영했음
    • 잘못 뽑은 사람 많으면 회사 작살난다. 에어비앤비는 첫 직원 뽑는 데 5개월 걸렸음. (컬쳐 밸류 핏)
    • 초기 직원들은 그들이 창업멤버인 것 처럼, mission oriented되어야 함
  • 스타트업에 처음 조인할 거라면, join the rocketship. 이미 잘 돌아가는데 다른 사람들이 가치를 알아주지 않는, 그런 회사에 들어가라
  • 고용에 쓰는 시간
    • 0 혹은 25%. 이 하나의 고용에 회사를 맡길 수 있겠느냐? 라는 관점으로 접근
    • 평범한 엔지니어는 절대 좋은 회사를 만들 수 없음. 오히려 회사가 망해버린다
  • 후보군을 어디서?
    • best는, 너가 이미 아는 사람. personal referrals이다.
    • 혹은 look outside the valley,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해도 좋음
    • 경험이 중요하나? 어떤 직군에는 그렇고 어떤 직군은 아니다.
      • 조직의 큰 부분을 맡을 때는 경험이 중요하다
      • 하지만 초창기 고용은, 대부분의 경우 경험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 누구를 뽑을까? 세 가지 확인할 것
    1. are they smart? - 머리 좋은 놈이냐
    2. do they get things done?
    3. do i want to spend a lot of time around them?
    • 이 세 질문을 직접 물어봐도 좋으나, 같이 일해 보는 게 좋다. 이 사람들이 했던 프로젝트를 물어보고, 추천인에게 전화해서 다 확인해봐야 한다.
  • 세부적으로
    • 소통 능력이 좋을수록 더 좋은 고용을 할 수 있다
      • 기본적으로 소통능력이 있어야 한다
      • 기본적으로 risk-taking해야 함. 꼭 스타트업에 들어가야 하는 사람이어야만 한다. 이것도 좋고 저것도 좋은 사람은 필요 없음
    • **뭐든지 무조건 끝내는 사람 (animal test?)**을 뽑을 것. 이 사람들은 결국 그 분야의 최고가 된다.
    • 저커버그의 두 가지 채용 조건: 1. 이 사람과 사교가 가능하겠는가. 2: 내가 이사람에게 보고해야 할 때 편하게 보고할 수 있겠는가?
  • 지분 분배
    • 직원에게 깐깐하고, 창업가에게 관대로운 건 매우 잘못된 일이다
    • 직원은 시간이 갈수록 가치가 높아진다. YC창업자들은 초기 직원에게 지분을 많이 부여했음.
  • 직원의 retain (유지)
    • 그들을 happy하게 만들고 valued하게 만들어야 함
      • 불공정하게 취급받았다고 생각하면 나가버린다. 가장 힘들었던 것? 너가 맨날 좆같이 한다는 걸 말하지 못하는 상황.
    • let them take credit for good things, you take responsibility for bad stuff
    • micromanage하지 말고, 지속적으로 작은 영역에 대해 책임감을 부여할 것
    • 직원들을 motivate하는 세 가지: autonomy, mastery, purpose (능동, 전문화, 목적)
  • 자를 사람
      1. 사내정치 하는 사람. 2.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사람들 은 회사에 암적인 존재다.
    • 한 두번은 너그럽게 하고, 넘어가야 함. 그러나 모든 결정을 잘못 내리면 그때는 결정을 내려야 한다
    • 성장할 사람을 어떻게 구분하냐? 똑똑한 사람은 시간이 지나면 자기 자리를 찾는다. 그건 문제가 되지 않음.
  • Equity split은 언제?
    • 많은 공동 창업자들은 이것을 나중의 문제로 미루나, 나중에 가면 결정하기 더 어려워짐
    • 50대 50에 근사해야 함 (최초 몇 주 내?)
    • 누가 떠나면 어떻게 하냐?
      • 모두에 대해 vesting 기간을 정해야 함. 그렇게 하지 않으면 투자자를 모을 수 없다.

Execution (경영)

  • 경영의 가장 중요한 것은,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다
  • CEO의 5가지 업무
    • set the vision
    • raise money
    • evangelize (전파)
    • hire and manage
    • make sure the company executes → 이게 가장 중요하고, CEO만 확인할 수 있음
  • Focus!!
    • 매일매일의 가장 중요한 세 가지만 뽑아서 집중하라.
    • 경영을 하다 보면 당신을 방해하는 수 많은 일이 있을 텐데, 그건 중요하지 않다. Best product보다 중요한 건 없음
    • 경영에서는 No를 엄청 많이 말할 수 밖에 없다.
    • 잘못된 것에 집중하면, 분명히 망한다.
    • 매일같이 그 날의 key goal을 정하고 움직여야 함. 전 직원이 그것만 신경써야 한다. 그것을 매일같이, 매주 반복해야 하는 것임.
      • 이 과정에서 communication이 매우 중요함. 이걸 안하면 회사가 focus를 잃어버림
  • 성장
    • 가장 중요한 게 성장임. 매일같이 metrics를 정의하고 그것에만 집착하라.
    • ‘지금은 성장하고 있지 않지만…’ 이라는 핑계는 중요하지 않다.
    • PR과 같은 것도 신경쓰지 말라. 이런건 그냥 중요하지 않다
  • Intensity (빠르고, 실행하고, 나타나고, 포기하지 않고, 용기롭다)
    • extreme focus and extreme intensity → founder의 역할
    • 스타트업에게 워라밸같은 건 없다.
    • 노력에서도 복리의 효과를 누려라. 매일 1%씩 더 일하면 그것의 차이는 더 커진다.
    • Facebook: move fast and move break things + in good quality.
      • 빨리 움직이는 게 다가 아니다. 퀄리티 유지가 되어야 함. → 결국 smart한 사람이 필요한 이유
      • 그들이 하는 모든 것의 quality를 따져야 함.
  • Be Decisive
    • 애매한 창업가는 장대한 계획만 말하지만, 최고의 창업가는 빠르게 결정하고 바로 실천하라 간다. 매 번 팀에게 새로 말했을 때, they get new things done!!!!! → 회사의 성공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
    • 그러려면 목표를 smaller project로 쪼개서 움직여야 한다.
  • Always keep momentum
    • 승리하는 startup은 계속 승리하고, losing team은 계속 질 것. 절대 방해받으면 안됨.
    • best growth engine = make great product
      •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 계속 성장하라는 뜻
      • 하드웨어 ⇒ 배달날짜가 늦어지지 않게
    • 회사가 모멘텀을 잃으면, 모두가 싸운다. 이 때는, 사용자 반응을 들을 듯. 제3자(사용자)가 시키는대로 할 것
      • 페이스북이 2008년 위기였을 때, 저커버그는 growth group을 만들어서 작은 성장을 지속시켰음
  • sales fix everything
    • 회사가 winning하지 않을 땐 작은 목표를 달성하게 하고, 승리하고 있을 때 큰 비전을 얘기할 것
    • 그리고 결국 수익이 나면 모든 게 해결됨!
  • 경쟁자는 중요하지 않다
    • 그들은 가끔 press에서 noise를 만드나, 이런 것들에 의해 회사가 흔들리면 안됨
    • rule of thumb: 진짜 제품을 가지고 경쟁하기 전까지는, 경쟁자는 “아예” 생각도 하지 말 것. 코드쓰는것보다 기사쓰는게 훨씬 쉽다.
    • henry ford: “The competitor to be feared is one who never bothers about you at all, but goes on making his own business better all the time.”
last modified March 2, 2025
comments powered by Disqus

© Copyright 2025. Jinho Ko. All rights reserved. Last updated: March 02,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