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 Target: Hyper growth가 되어 엄청 큰 회사가 되기를 추구하는 스타트업
- 스타트업의 네 영역: 1. Idea, 2. Product, 3. Team, 4. Execution
- 왜 스타트업을 해야 하는가?
- 그냥 하지는 마라. 부자가 될 방법은 많음.
- 언제 하냐? when you are compelled by a particular problem and best way to solve it is starting a company. → Passion first, startup second인 것임. 모든 YC 창업자들이 이것을 찾는다
Idea
- 구체적인 Idea를 엄청 오래 생각하는 건 별로 좋은 방법이 아님. 일단 시작하고, 뭐가 되는지 보는 과정이 중요함. Pivot도 중요하다. 더 많이 할 수록 더 낫다. Great execution 이 10배 더 중요함
- Idea의 정의: 넓음
- 시장의 크기, 성장, 전략, 방어전략 등. 아이디어를 평가할 떄 이 모든 것을 봐야 함
- 괜찮다면, 이게 향후 10년간은 유효할 사업인지 확인하고 방어전략도 검토해야 함
- 스타트업에서 장기적으로 바라보는 건 귀하지만, 한다면 엄청난 장점이 있다. Ideas will expand and become ambitious.
- 항상 Idea first, startup second이다. compelled to explore한 아이디어가 있어야 함
- mission orientation의 중요성
- 회사가 important mission이라고 느껴져야 함. 스타트업은 최소 10년은 걸리는 일이다. 하는 일을 좋아하지 않으면, 중간에 포기할 가능성이 높음.
- Good startups usually takes ten years! (실제로 성공한 미국 스타트업 보면 다 10년씩 걸렸음)
- hard startup을 하는 게 easy startup을 하는 것보다 쉽다.
- 나쁜 아이디어인것 처럼 보이지만 + 좋은 아이디어인 것 → 스타트업화 할 대상
- 너무 좋아보이면 이미 사람들이 다 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선구적인 눈이 필요한 것이다.
- 필요한 마인드 → subset을 대상으로 이 제품을 팔되, 그 사람들은 내 제품을 무조건 쓰게. 그러면 다른 사람들도 나중엔 쓰게 될 것!
- 더 좋은 아이디어를 가져갈수록, 사람들은 당신이 미쳤다고 생각할 것이다. 당신과 경쟁할 일이 없기 때문에 더 안도해도 된다.
- 그래서, 사실 당신의 아이디어에 대해 말하는 게 위험하지 않다. 진짜 좋은 아이디어는 not worth stealing한 것처럼 보인다.
- 향후 10년간 더 커질 시장을 들어가야 함
- 크지만 천천히 커질 시장보다, 작지만 빠르게 증가할 시장이 더 좋다
- you cannot create a market that does not want to exist. 너가 확신하는 분야만 들어가서 그 분야의 모든 것을 바꿀 수 있다
- Why now? 왜 지금 해야 하는가?
- YC의 성공한 스타트업은 모두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가지고 있다.
- 베스트는, 너 자신이 지금 필요한 걸 만드는 것이다. 너가 그 필요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 있음
- 좋은 창업 아이디어는 매우 설명하기 쉽고, 이해하기 쉽다
- 한 문장 이상 필요하다면, 너무 복잡한 것. (구글: 정말 잘하는 검색엔진, …)
- 학생일 때 해야 하는 것
- 새 기술에 대한 좋은 안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걸 연마하는 동안 시작할 것
- potential cofounder를 만나는 것. 너는 너가 얼마나 좋은 환경에 있는지 모른다
- 한 가지만 생각할 수 있다면, 시장의 관점을 생각할 것
- 사람들이 원하는 걸 만들어야 함.
Product
- 창업자가 해야 할 것은, 회사가 중요한 상품을 만드는 것이다. 그걸 다 만들기 전가지는, 아무것도 중요하지 않다. 좋은 상품이 있다면, 투자받고 고용하고 하는 것은 더 쉽다
- 성공한 이들의 초창기: 계속 개발하거나 고객에게 얘기하는 것
- Founders들이 해야 할 일
- work on their product, talk to users, exercise, eat, sleep, 나머진 NO!
- 상품이 홍보하기 충분히 좋아질 때 까지 그것만 해라
- 사용자가 love할만한 제품을 만들어라
- 많은 고객이 like하는 것보다, 적은 고객이 love하는 것들을 만들어야 함. 그들이 가려운 등을 정확하게 긁어야 함
- tradeoff 곡선 → 초기 버전은 ‘무조건’ 적은 사용자가 많이 쓸 만한 걸 만들어야 함. 거기서부터 확장해야 성장이 가능한 것.
- 모두가 좋아할만한 건 이미 대기업이 할 것이다
- Great Product is the secret to long term growth hacking
- 결국 좋은 상품이 롱런한다. 그러니 걱정하지 말 것
- 경쟁은 중요하지 않다. 경쟁자들이 그렇게 잘하지 않을 것이다. 경쟁으로 망하는 스타트업은 거의 없다. 스스로 사용자들이 좋아할만한 제품을 만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 풀 문제의 가장 적은 subset을 만들고 공략하라. 하나를 엄청 잘하게 된다.
- Founders being fanatical about their product
- 제품이 거지같으면 밤을 새서라도 빨리 고친다.
- 고객 확보
- Feedback을 받을 고객을 확보하라. 단 몇 이어도 좋으니, 피드백을 줄 고객을 확보하고, 그들과 직접적으로 소통하라.
- 어떻게 하면 돈을 지불할지, 물어보라
- Software startup은, 이 feedback loop을 더 빠르게 만들어야 한다. 몇 시간일 수록 더 좋다
- 마케팅, 고객 담당 인력은 당장 채용할 필요 없다. 너가 스스로 해야 한다.